학과소개
학과소개
 대학원 학과소개
학과개요
미래의 인류복지와 풍요로운 삶을 위하여 천연자원의 적절한 활용뿐만 아니라 보다 새로운 에너지의 확보 및 환경 친화적 청정공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지난 100여년동안 화학공학은 화학·물리·생물 및 수학 등 자연과학을 기초로 하여 물질 및 에너지 변환을 위한 최적의 공정 내지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응용 학문으로서 인류의 번영과 복지 증진에 크게 공헌하여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공학은 석유화학·화학 비료·에너지·고분자·정밀화학 제품 등의 개발 및 생산 분야와 생명산업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최근 화학공학은 정보 산업분야의 각종 핵심 부품재료, 생명 공학적 신물질의 합성 및 대량생산, 신에너지 및 환경과 조화된 청정공정의 개발 등으로 학문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으며 새로운 21세기를 맞이하여 화학공학과는 인류복지 증진과 풍요로운 삶을 실현하며, 지구 자원 고갈에 대비한 지속적인 산업발전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목표
학문적 수월성과 사회적 가치를 준수하며 미래 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글로벌 고급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 및 연구중점 분야
인간과 환경이 조화로운 청정공정
분리막을 이용한 환경 및 청정공정기술, 분리막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기술개발, 공정오폐수처리 및 재활용기술, 고효율 분리막 모듈의 개발, 분리막 오염현상 규명, 분리막 공정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 분리막의 분리특성 평가 및 표준화 연구

인류복지를 추구하는 3D 바이오프린팅 생체재료, 의공학 및 조직공학
바이오산업의 핵심 분야인 의료용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기술 기반의 생체모방형 생체재료 개발, (줄기)세포-생체활성물질전달시스템-생분해성 지지체를 이용한 골/연골/혈관/신경 등의 조직재생공학 및 생분해성 고분자와 세라믹 융합 생체재료, 주사형 하이드로젤 등의 생체재료를 이용한 고부가 가치의 의료용 임플란트 개발 및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골, 연골, 식도 등의 인공장기 개발

유해물질의 노출을 감소시킨 그린용매공정
유해한 물질의 사용과 발생을 줄이거나 억제하기 위한 그린용매인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며 공정설계에 필요한 기초물성을 측정 및 추산

공정 모델링 및 제어 이론과 대기 에어로솔 모델링
화학공정의 모델링과 연계하여 공정해석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Model Predictive Control과 같은 최신 제어기 이론의 개발 및 응용하는 연구, 지구온난화 예측에 필요한 수치모형에 필수적인 대기 에어로솔 모형 개발연구

미래 청정에너지를 위한 나노 기술
청정에너지 개발을 위한 맞춤형 나노물질을 개발하고 성능 및 특성분석을 수행함. 관심분야로는 수소, 바이오연료, 태양에너지 및 융복합기술인 인공광합성 분야

생계면 물성 규명 및 응용 기술 개발
인공세포막과 이를 둘러싼 주위와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물성변화를 고찰하고 막 단백질들이 세포막에서 갖는 거동을 규명. 막 단백질의 기능을 초고속으로 연구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유기재료 및 반도체 공정
기능성과 가공성이 뛰어난 유기재료 바탕의 에너지 소자 및 반도체 공정 연구. 자연 모사를 통한 복잡한 구조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초고성능 접착제, 디스플레이 재료 및 초소수성 표면 연구

연성(soft)재료를 기반으로하는 기능성 소재 및 소자 개발
적은 외력에서 쉽게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는 연성재료의 물성에 대해 연구. 연성재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성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성 신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에너지, 바이오, 환경, 센서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

계면 공학 및 유변학
계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관찰 및 이해하고 이러한 계면을 내부에 넓게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연성 물질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하는 연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 및 물성을 지닌 안정한 에멀젼 및 폼을 개발하여 화장품 및 약품의 제형, 더 나아가 인공 세포 시스템에 활용.

청정에너지 환경 촉매 및 반응공학
촉매를 원자단위 수준으로 제어하고 설계하여 다양한 화학반응에서의 반응공학의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 이를 바탕으로 고효율 촉매를 개발하여 석유화학산업뿐 아니라 환경오염 물질제거 및 부가가치 높은 화학물질과 청정에너지 생성에 기여함.
응용 및 관련 산업분야
친환경 녹색성장 제품 분야, 즉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분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광역 에너지 네트워크 통합관리 시스템 솔루션 분야, Biomass와 유기성 폐기물의 가스화 기술 분야(수소생산 기술),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고용량 니켈-수소[MH] 전지분야, VOCs와 관련된 대기오염 방지기술 분야, 반도체 등 전자세라믹스 관련 부품 및 소재분야, 환경/에너지관련 센서분야, 친환경 정밀화학 소재분야, 화학공정 시스템의 경제적인 운전을 위한 자동화기술 분야, 석유화학공정, 폐윤활유 분해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촉매 공정시스템 분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청정화학공정분야, 청정기술의 산업체 응용분야, 분리막 기술을 이용한 공장폐수 처리 및 분리막 시스템 설계분야, 하이드로젤 등의 신기능 생물·의료 소재분야, 생체활성물질과 약물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골, 연골, 혈관 등의 조직재생공학,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금속 등 생체재료를 개발하는 의공학분야, 유해물질 발생 억제를 위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신공정 분야, 공정설계에 필요한 기초물성측정 및 추산화학공정의 모델링과 연계된 공정해석 및 최적화 분야, Model Predictive Control과 같은 최신 제어기 이론분야, 지구온난화 예측에 필요한 수치모형에 필수적인 대기 에어로솔 모형 개발 분야, 태양에너지 및 융복합기술인 인공광합성 분야, 화장품, 의약품 등 향장 및 제약분야 등
학과의 특성과 발전 전망
친환경 녹색성장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적인 첨단 화학공정을 연구, 개발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며, 화학공학과는 유·무기물질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공정개발이 목표이므로 모든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분야와 연관을 갖는다. 화학공정분야인 플랜트산업 및 석유화학분야, 첨단소재분야인 유/무기부품, 소재산업, 반도체-IT, 화장품, 의약품, 분석 및 품질관리분야, 에너지분야인 수소/연료전지,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 고효율공정분야, 환경분야인 청정공정, 친환경공정분야, 바이오분야인 의공학, 생명공학, 세포배양, 조직공학, 의료용고분자분야 등을 특성으로 하고 있다.
화학공학과에서는 학과발전계획 수립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즉 맞춤형 특성화 교육시스템 구축, 취업률 향상 및 취업의 질을 위한 체제 구축, 산학협력 활성화, 교수 역량 강화, 공학인증 프로그램 도입, 국내외 Network 활성화, 동문회 활성화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Quick Menu

  • 대학원
  • 학생포탈
  • e-Class(강의)
  • 수강신청
  • 입학안내
  • 대학생활안내
  • 도서관
  • 과기대 챗봇
  • 장학공지
  • 맞춤형장학조회
  • 증명서 발급
  • 학과동문회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운관(6번건물) 103호 TEL : 02-970-6601 FAX : 02-970-9737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